

디아스포라 선교의 전략적 방향: 국제학생 사역
디아스포라신문은 매월 김성훈 선교사의 저서 <마지막 시대의 모략: 디아스포라> 본문 일부를 발췌하여 게재한다. 이번 호는 본서 4장의 '디아스포라 선교의 전략적 방향성' 내용을 요약하였다. 2015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다문화사회 현장에 대한 유감
디아스포라신문은 정기적으로 한국이주민선교연합회(KIMA)의 연구보고서 <국내 이주민선교 기반 구축을 위한 대상별 선교전략 개발> 본문을 발췌하여 연재하고자 한다. 본고는 1장 '연구의 배경과 목적'에서 '이주민 선교의 선교신학적 당위성과 선교전략...


합신세계선교회(HIS) 다문화 사역 형태와 과제
합신세계선교회(이하 HIS)는 장로교 합신총회 선교부의 선교사역을 담당하는 선교회로, 전 세계 45개국에 400여 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다. HIS는 지역교회 중심의 다문화·이주민 사역과 선교사 중심의 국내 사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선교회...


카렌교회의 강함으로 한국교회의 약함이 채워지기를…
"한국교회가 연약해진 것을 보고 마음이 너무 아팠습니다." 며칠 전 5년 만에 한국교회를 방문한 한 선교사가 남긴 고백이다. 그가 방문한 10여 곳의 한국교회 가운데 주일예배에 참석하는 인원이 30명을 넘는 교회는 단 한 곳이었다고 한다. 그의...


디아스포라 선교의 도전과 이슈 (2)
디아스포라신문은 매월 김성훈 선교사의 저서 <마지막 시대의 모략: 디아스포라> 본문의 일부를 발췌하여 게재한다. 이번 호는 본서의 3장 '디아스포라 선교의 방향과 도전 I'을 요약하였으며, 지난 호에 이어서 유럽의 경우를 들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신실한 기업가, 헌신된 신앙인 다이히만
필자가 독일에서 매월 한 번씩 조찬과 성경공부를 겸한 목회자 기도모임에 참석할 때면, 모임 장소인 목사관의 입구부터 이층 계단까지 신발로 가득한 것을 보며 늘 드는 생각이 있었다. 목사관에 사는 사람들이 걷기용, 달리기용, 잔디밭용, 실내용 등...

외국인 사역자에 대한 이해
Jac ques Attali는 『호모 노마드, 유목하는 인간』에서 세계는 갈수록 상업적 노마디즘(Nomadism)의 가속화로 향후 50년 내에 10억 이상의 인류가 자기가 태어난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예견한다. 현재...

다문화교회 사역자에게 제안한다
필자는 다문화교회에 대한 개인적 견해 몇 가지를 공유할 것이다. 먼저 하나는 다문화교회와 다민족교회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두 형태의 교회가 모두 중요하지만, 다문화교회가 되는 것은 다민족교회가 되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 만약...


스리랑카 기독교인들 “박해가 신앙을 더 강하게 만들어”
미국오픈도어, 고난 딛고 일어선 스리랑카 교회와 성도 소식 전해 최근 미국오픈도어는 스리랑카에서 성난 폭도들의 위협 속에서도 믿음을 잃지 않은 교회 공동체와 3년 전 부활절 폭탄테러 사건의 생존자로서 새로운 가정을 이루게 된 여성도의 소식을...


끝나도 끝나지 않은 전쟁 아프가니스탄의 비극
보복의 유혈 수레바퀴는 멈추지 않을 것, 수많은 난민 발생으로 시험대 오른 인류애 아프가니스탄의 비극적 상황을 알리며, 냉혹한 국제정치의 현주소를 담아낸 사진 한 장. 이제 막 공항에서 이륙한 미군 수송기 바퀴를 붙잡고 결사적으로 버티던 사람...